728x90
반응형
탄수화물-인슐린 모델(Carbohydrate-Insulin Model, CIM)은 비만과 체중 증가의 원인을 단순한 '칼로리 과잉'이 아닌, 탄수화물 섭취와 인슐린 반응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이론입니다. 이 이론은 특히 저탄수화물 식단의 이점을 강조할 때 자주 언급됩니다.
🔍 탄수화물-인슐린 모델의 핵심 내용
- 탄수화물 섭취 → 인슐린 분비 증가
고탄수화물 식품(특히 정제된 탄수화물과 설탕)을 섭취하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고, 이에 따라 인슐린이 많이 분비됩니다. - 인슐린은 지방 저장을 유도함
인슐린은 혈당을 세포로 보내는 역할 외에도, 지방의 분해를 억제하고 저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합니다.
즉, 높은 인슐린 수치는 체지방 축적을 쉽게 만듭니다. - 지방을 연료로 쓰지 못하게 함
인슐린이 높으면 체내에서 지방을 에너지로 전환하기 어려워지고, 몸은 계속해서 탄수화물을 요구하게 됩니다.
결과적으로 잦은 허기와 과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⚖️ 칼로리 균형 이론과의 차이
구분칼로리 균형 이론탄수화물-인슐린 모델
원인 | 칼로리 과잉 섭취 | 탄수화물-인슐린 작용 |
초점 | 전체 칼로리 | 탄수화물의 질과 양 |
대처법 | 칼로리 제한 | 탄수화물 제한 |
📌 비판 및 반론
- 일부 연구에서는 CIM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건 아니며, 칼로리 섭취량 자체가 여전히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합니다.
- 다만, 저탄고지(LCHF), 키토제닉 식단 등은 이 모델에 기반해 체중 감량이나 혈당 조절에 효과를 보이는 경우도 많습니다.
🧠 요약
탄수화물-인슐린 모델은 **“비만은 단순히 너무 많이 먹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, 잘못된 종류의 음식을 먹어서 인슐린 반응이 잘못 조절되기 때문”**이라고 보는 관점입니다.
728x90
'당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침 과일 섭취와 혈당 관리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5.07.04 |
---|---|
오리고기와 혈당관리의 관련성 (0) | 2025.07.02 |
냉면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5.06.24 |
당뇨인의 갈증해소에 좋은 음료 (0) | 2025.06.16 |
당뇨약 장기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문제점 (0) | 2025.06.11 |